주요 결과(2023년)
1.조사 목적
- - 임업 경영실태 및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임업인의 소득향상과 지원 정책수립 등 임업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
2.조사 연혁
- - 1999 : 최초 조사 실시
- - 2000 : 통계작성 승인(제 13622호)
- - 2013 : 2개 업종 (임업경영인, 목조건축업)에 대한 세번째 조사 실시('03, '08년실시)
- - 2014 : 잣나무 재배업, 송이 채취업, 야생화 재배업, 벌목업 네 번째로 조사 실시, 4년 주기 조사
- - 2015 : 산딸기(복분자딸기) 신규 조사, 5년 주기 조사
- - 2016 : 6개 업종(육림업, 양묘업, 약용식물재배채취업, 조경수 재배업, 분재 재배업, 수액 채취업) 과 관상산림식물류(신규) 조사
- - 2017 : 5개 업종(산채 재배업, 옻 생산업, 건축용 나무제품 제조업, 목재포장 용기류 및 깔판류 제조업 기타 나무제품 제조업) 조사
- - 2018 : 임업경영인, 목조건축업에 대한 네번째 조사, 변경된 2차 가공 제조업 조사
- - 2019 ~ 2020 : 동일 업종 3년 주기 (2021년 업종 개편 진행)
- - 2021 ~ 2022 : 동일 업종 1년 주기(3,000임가)
- - 2023 ~ : 동일 업종 1년 주기(1,500임가)
3.법적 근거
- - 통계법 제 18조 및 동법 시행령 제 24조에 의한 일반승인통계 제 1306022호(2000. 11. 14.)
4.공표
5.조사 방법
조사대상기간
조사 대상
- - 8개 업종(영림업 및 목재수확업, 식용임산물채취업, 밤재배업, 떫은감재배업, 기타산림수실류재배업, 버섯재배업, 기타임산물재배업, 관상산림식물재배업)
조사 항목
- - 일반현황(종사기간, 경영형태, 소유면적 및 재배면적 등)
- - 수입부문(가구총수입 및 임업총수입, 생산량, 판매수입 등)
- - 비용부문(투입비용 및 노동력, 소유시설 및 장비, 생산비 조달방법 등)
- - 경영의사(전망, 재배계획, 생산 및 소득변화, 애로사항, 정보 습득경로 등)
담당부서 : 임업통계실
| 담당자 : 김영훈
|
02-6393-2617